금융

이 회사 주식이 비싼지? 싼지? 알려주는 지표 PBR 란?

크앙7749 2025. 7. 27. 10:16
반응형

✅ PBR란?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 기업의 청산가치 대비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 혹은 싼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용어 정리 먼저:

주가: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1주 가격

순자산 (자기자본): 자산 - 부채 = 주주들의 몫

BPS (Book 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

BPS = 자기자본 ÷ 총 발행주식 수

PBR 공식:

PBR = 현재 주가 ÷ BPS


✅ 예시

어떤 회사의 자기자본이 100억 원

발행한 주식 수가 100만 주라면
→ BPS = 100억 ÷ 100만 = 1만 원

그런데 이 회사 주가가 2만 원이라면
→ PBR = 2만 ÷ 1만 = 2.0


👉 즉, 이 회사 주식은 장부가치의 2배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 입니다.

✅ PBR 해석

1 미만         저평가 가능성 (주가가 순자산보다 쌈)
1 이상         기업 가치가 순자산보다 높게 평가됨
2~3 이상     미래 성장 기대가 큼, 혹은 고평가

✅ PBR이 낮은데 왜 주가가 낮을까?

회사가 돈은 많지만 수익성이나 성장성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예: 부동산은 많은데 매출/이익이 거의 없는 회사

그래서 PBR만 보고 투자하면 가치 함정(value trap)에 빠질 수 있습니다.

✅ PBR + ROE 조합 (중요!)



PBR은 ROE와 함께 보면 더 강력한 투자 지표가 됩니다.

🔍 펀더멘털 공식

PBR = ROE × PER

즉, PBR이 낮고 ROE가 높은 기업은 진짜 보석일 수 있어요.

⭕️예시

A 기업: ROE 15%, PBR 0.8 → 자본 잘 굴리는데 시장에서 저평가

B 기업: ROE 3%, PBR 1.5 → 자본 효율도 낮은데 비싸게 거래

✅ PBR의 업종별 차이

금융업, 제조업: 자산 중심 산업 →🔰 PBR 중요🔰

IT, 플랫폼, 바이오: 무형자산(브랜드, 기술력)이 많아 PBR 3~10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PBR은 같은 업종끼리 비교해야 의미가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PBR은 이 회사, 장부가치 대비 비싸게 팔리는 걸까?
싸게 팔리는 걸까?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다만, ROE, PER, 성장률 등과 함께 봐야 정확한 투자 판단이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