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5

보일러 손상 및 이상현상 (1) 보일러 손상 a) 과열 원인 이상 감수 현상이 발생하였을 원인이 된다. 동 내면에 스케일이 생성되어 전열이 불량한 경우에 과열의 원인이 된다. 보일러 수가 농축되어 순환이 불량할 때 원인이 된다. 전열면에 국부적으로 심한 열을 받았을 때 원인이 된다 연소실 열부하가 지나치게 큰 경우 과열의 원인이 된다. 방지대책 적정 보일러 수위를 유지한다. 동 내면에 스케일 생성을 방지하고 고착되지 않도록 한다. 보일러 수가 농축되지 않도록 하고, 순환을 교란시키지 않도록 한다. 전열면에 국부적인 과열을 방지한다. 연소실 열부하가 너무 높지 않도록 한다. 팽출 및 압궤 370℃ 이상 과열이 되었을 때 강도가 약해져 발행하는 현상이다. 팽출(bulge): 동체, 수관, 겔로웨이관 등과 같이 인장응력을 받는 부분이.. 2023. 1. 31.
보일러 점검 및 조작 1) 신설 보일러 내부 점검 a) 동 내부 점검 내부의 비수방지관, 기수분리기 등 기기의 부착상태를 점검하고 공구나 기타 물건 등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다. 맨홀, 청소구, 검사구 등을 점검하고 개방되어 있는 것은 뚜껑을 닫고 밀폐시킨다. 급수를 하면서 저수위 경보기, 연료차단장치 등의 인터록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만수 후 정상사용압력보다 10% 이상의 수압을 가하여 누설 유무를 확인한다. b) 연소실 및 연도 점검 연소실, 연도, 노벽 등에 불필요한 물건 등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다. 연소용 공기 및 연도의 댐퍼 개폐 및 작동상태를 점검한다. 매연제거 장치의 이상유무를 점검한다. c) 노벽 및 내화재 건조 상태 점검 자연건조 시에는 10~15일 정도, 화염에 의한 건조 시에는 약한 불로 72시간 정.. 2023. 1. 30.
보일러 급수관리 (1) 급수 불순물 종류 용존가스 : 산소, 탄산가스, 암모니아 등으로 점식이 원인이 된다. 염류 : 칼슘, 마그네슘 등 염류를 말하며 농축되어 스케일이나 슬러지 생성이 되고 부식의 발생 원인이 된다. 중탄산칼슘 : 급수 용존 염류 중 가장 일반적인 슬러지 성분으로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발생한다. 중탄산마그네슘 : 보일러수 중에 열분해 되어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슬러지가 된다. 황산칼슘 : 고온에서 석출 하므로 주로 증발관에서 스케일화되는 것으로 보일러 내 처리가 불충분한 경우에 생성되기 쉽고 대단히 악질 스케일이 된다. 황산마그네슘 : 용해도가 커서 그 자체로는 스케일 생성이 잘 안 되나 탄산칼슘과 작용해서 황산칼슘과 수산화마그네슘의 경질 스케일이 발생한다. 염화마그네슘 : 보일러수가 적당한 p.. 2023. 1. 29.
열관리 설비 통풍 및 집진 (1) 통풍방식 a) 통풍방법 종류 및 특징 연돌에 의한 통풍방식으로 배기가스와 외부공기와의 비중량차에 의해서 통풍력이 발생된다. 통풍력은 연돌의 높이, 배기가스의 온도, 외기온도 및 습도의 영향을 받는다. 노내 압력이 부압으로 형성된다. 통풍력이 약해 구조가 복잡한 보일러는 부적당하다. 배기가스 유속이 3~4 [m/s] 정도이다. 송풍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통풍력이 자유로이 가감되고 배기가스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연도에 폐열회수 장치를 설치하여 보일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압입, 흡입, 평형 통풍의 3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압입 통풍: 송풍기를 연소실 앞에 두고 연소용 공기를 대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연소실에 밀어 넣는 방식이다. 연소실 내의 압력이 정압으로 유지된다. 연소용 공기를 .. 2023. 1.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