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E란?
ROE는 주주가 투자한 돈(자기자본)으로 기업이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ROE = (당기순이익÷자기자본) × 100
✅ 용어 설명
당기순이익: 1년 동안 벌어들인 최종 수익
(세금 다 뺀 ‘순이익’)
자기자본: 주주가 투자한 돈 (총자산 - 부채)
✅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 상황:
피자집 창업에 1,000만 원(자기자본)을 투자했어요.
1년 운영해서 200만 원(순이익) 벌었어요.
그럼 ROE는?
ROE = (200만 ÷ 1000만) × 100 = 20%
👉 즉, 내가 넣은 돈 대비 1년 동안 20% 수익을 낸 것!
✅ ROE 해석
5% 이하 자본을 비효율적으로 사용
10% 전후 평균적인 수준
15% 이상 매우 효율적인 경영, 우량 기업 가능성 ↑
20~30% 이상 성장성 우수, 다만 레버리지 과다 사용일 수도 있음
✅ ROE가 왜 중요한 이유
주주 입장에서 "내 돈 잘 굴려주는 회사인지" 판단 가능합니다.
ROE가 높을수록 회사가 수익성 좋은 사업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ROE가 높은 회사 = 좋은 회사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ROE도 주의해서 봐야 합니다!
⚠️ ROE 높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님:
1. 부채 많이 쓰면 ROE 인위적으로 올라가며 빚을 많이 내면 자기자본은 작아지고 순이익은 그대로 → ROE 높아집니다.
2. 일시적인 이익으로 왜곡
땅 팔아서 이익 내면 ROE 일시적으로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ROE는 "내가 투자한 돈으로 기업이 얼마나 잘 벌었나?"를 보여주는 지표 입니다.
높을수록 좋지만, 부채나 일회성 이익 등으로 조작 가능하니 다른 지표(PBR,ROA,부채비율)와 함께 보는 것이 안전 합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회사가 자산 운영 판단 지표 ROA 란? (2) | 2025.07.27 |
---|---|
이 회사 주식이 비싼지? 싼지? 알려주는 지표 PBR 란? (1) | 2025.07.27 |
주식투자에 필요한 지표 PER ? (2) | 2025.07.25 |
투자의 위험회피 헤지(Hedge)란? (0) | 2025.07.21 |
SOXS ETF 란? (1) | 2025.07.21 |
댓글